안녕하세요. 건설공사 사업계획 수립 및 발주 시 필요한 원가계산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1. 공사원가계산서란 ?
가. 공사원가계산은 공사비를 산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.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비,
노무비, 경비의 합계인 순공사원가에 일반관리비, 이윤, 공사손해보험료, 부가가치세 등을
합하여 공사비를 산정하는 것이 공사원가계산서임.
나. 공사 수행 중 산출내역서상 항목들을 정사는 경우 또는 계약금액 을 조정하는 경우에 그
대상이 되는 항목의 내용과 성격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한 것에서 발생함. 따라서 원가 구성에
대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.

2. 원가계산의 기능 및 의미
공사원가계산은 공사를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하는 기능임. 한정된 예산범위 내에서 사업을
진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. 또한, 산정된 공사비가 계획된 예산에 부합되는지 확인해야함.
3. 원가의 구성 : 재료비
가. 직접재료비는 공사목적물의 실체를 형성하는 물품의 가치를 말하며, 간접재료비는 공사목적물의
실체를 형성하지는 않으나 공사에 보조적으로 소비되는 물품의 가치를 말함.
■ 직접재료비
1) 주요재료비 : 공사목적물을의 구성형태를 이루는 물품의 가치
2) 부분품비 : 메입부품, 수입부품, 외장재료 등의 가치
■ 간접재료비
1) 소모재료비 : 오일류, 접착제, 장갑 등의 소모성 물품의 가치
2) 소모공구/기구/비품비 : 내용년수 1년 미만의 감가상각대상 제외 품목의 가치
3) 가설재료비 : 비계, 거푸집, 동바리 등의 가설재의 가치
나. 재료의 구입과정에서 발생된 운임, 보험료, 보관비 등의 부대비용은 재료비에 계상
※ 재료비 구입 후 발생되는 부대비용은 경비의 각 비목으로 계상
다. 시공 중 발생하는 작업설, 부산물 등은 매각액 또는 이용가치를 파악하여 재료비에서 공제
※ 기존 시설물의 철거, 해체 및 이설 등으로 발생되는 작업설, 부산물 등은 재료비에서 공제하지 않고, 매각비용 등에
대하여 별도 계상함.
지금까지 원가계산서 재료빙 등에 대하여 알아 보았으며, 이후 노무비 경비는 다음 내용에서 설명하도록
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본 블로그의 게시글 내용은 해당분야의 관계법령, 관련부처의 자료 등을 바탕으로 참고 및 공유목적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. 관련법령 개정사항 등은 즉시 반영이 어렵다보니, 사실관계의 경우 관련기관 및 전문가의 의견을 적용 하여 주시기 바라며, 또한 블로그의 게시글과 자료는 법률적인 용도로 사용이 불가합니다.(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) 포스팅 일부 내용과 삽화 이미지 등 은 출처의 자료가 사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 |
'공공건설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공건설] 건설공사 원가계산서란?(2) (0) | 2025.02.16 |
---|